-
한포진에 좋은 운동이 있을까요?치료실에서 하고 싶은 말들 2023. 3. 19. 17:32
'선생님 제가 한포진 같은 것도 생기고 해서 이제 건강을 챙기려고 수영을 시작했습니다.'
'아... 그래도 수영은 안 하시는 것이...'
많은 환자분들이 한포진과 같이 면역과 관련이 있는 질환이 발생하고 고생하시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집니다. 그래서 평소에는 등한시했던 식단과 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새롭게 시작하려고 합니다. 매우 바람직한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위의 사례처럼 차라리 안 한 것만 못한 잘못된 사례도 있어서 한포진 환자가 운동 시 주의사항이나 고려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땀을 흘리는 운동은 너무 좋습니다만.
아토피나 지루피부염과 같은 습진, 두드러기 등은 가려움이 심한데 운동을 해서 몸에 열을 내고 얼굴을 벌겋게 만들고 염분을 가진 땀이 습진부위를 자극하면 더 가려워지면서 괴로움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질환은 함부로 운동이나 사우나, 반신욕 등으로 열과 땀을 내라고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포진의 경우에는 땀을 흘리는 운동에도 크게 가려움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땀 낼 수 있는 운동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운동 후 가려움이 너무 심해진다면 다시 체크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발의 한포진이 심한데 달리기나 오래 걷기, 등산 같은 운동은 발바닥을 자극하고 심하면 피부가 까지고 벗겨질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걷는 것이 힘들 때에는 가벼운 실내 자전거 타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권해드립니다. 물론 한포진은 물 닿는 것을 피해야 하기 때문에 수영 같은 운동은 절대 금물입니다.
그립을 잡는 운동도 손습진에는 피해야 할 운동
손습진이 있을 때에는 고무가 습진부에 안 닿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라텍스장갑은 피해야 하고 고무장갑도 직접 닿지 않게끔 비닐장갑으로 차단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라텍스장갑 대신 니트릴장갑이나 비닐장갑으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운동 중에 고무그립이 손에 닿는 것이 있습니다. 아령이나 헬스기구 손잡이의 고무그립이나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과 같은 채나 라켓의 고무그립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될 수 있으면 맨손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직접 안 닿아도 너무 강한 자극이나 마찰은 손습진에 별로 좋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니켈, 코발트 등의 금속성 물질 역시 습진을 악화시킬 수 있어서 접촉을 금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한포진 운동 (출처 - shutterstock) 운동 후 장갑이나 신발을 바짝 말려주기
운동 후에 사용했던 장갑이나 신발을 그냥 락커나 주머니 같은 곳에 넣고 다시 또 운동할 때 꺼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발습진이 없을 때는 별 문제가 안 될 수 있지만 한포진과 같이 피부장벽이 약해졌을 때에는 떨어진 각질과 땀 수분에 의해서 증식할 수 있는 균과 곰팡이가 피부를 파고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한 장갑이나 신발은 꼭 햇볕이나 자외선 살균기에 충분히 살균하고 말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갑이나 양말을 자주 빠는 것도 중요한데 세제나 비누 성분이 완전히 헹궈지지 않고 남아있다가 다시 땀나면서 피부에 영향주는 일도 없도록 충분하게 헹굼을 해주셔야 합니다.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한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선택입니다. 특히 한포진과 같이 순환력이 떨어지면서 손발 말단부에 독소가 침착하는 경우에는 순환력을 끌어올려주고 심폐기능을 높여주는 유산소운동이 좋습니다. 다만 손발의 습진부위가 과도한 자극이나 마찰, 다른 기구나 장비를 통한 감염, 접촉성 알레르기반응,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치료실에서 하고 싶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레르기검사에서 음식은 상관 없다는데 식이관리 필요하나요? (0) 2023.05.28 커피는 피부질환에 해로울까요? (0) 2023.05.03 한포진 습진 관리법 (0) 2023.03.15 한포진 손발습진인데 배를 따뜻하게? (0) 2023.03.09 한포진 - 이드 반응(id reaction)을 아십니까? (0) 2023.03.07